전체 글 1845

<제21강> 21-1. 요일

1.단원 설정의 이유 ‘수(數)’에서 날짜와 시간 말하기를 배웠습니다. 이미 느꼈겠지만, 한국어는 한자어계 수와 고유어계 수를 쓰는 경우가 다릅니다. 예를 들면 월일(月日)과 분(分), 돈, 등은 한자어계 수로, 시간(時間), 개수(個數) 등은 고유어계 수를 쓰는 것입니다. 이 단원에서는 그것의 복습과 함께 그것과 뗄 수 없는 요일을 배우겠습니다. 어법에서는 체언서술어의 부정문(~이/가 + 아니에요)을 공부하게 됩니다. 용언서술어의 부정문은 이것과 다르고 좀 복잡하기 때문에 다음에 공부하겠습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날짜, 요일, 시간(時間) 표현을 알아듣고 바르게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체언서술어의 부정문(~이/가 + 아니에요)을 이해 하고 활용할 수 있다..

<제20강> 20-2. 일용품(日用品)

⑶실용 회화 -핸드백에 무엇이 있어요? =핸드백에 화장품과 화장지와 거울이 있어요. -면도기로 무엇을 해요? =면도기로 면도를 해요. -이것은 수첩이에요? =아니요, 이것은 지갑이에요. -지갑에 무엇이 있어요? =지갑에 신용카드가 있어요. -이것이 신용카드예요? =네, 이것이 신용카드예요. -볼펜 가지고 있어요? =미안합니다. 없어요. ⑷어법(유의:설명할 때 학습자가 복잡하다고 느끼지 않도록 단순하고 실용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조사 *~에 : 시간, 장소, 방향, 등을 나타내는 격조사.(예)한 시에, 여기에, 어미 *~아요?/어요?, ~이에요?/~예요? : 평서형 종결어미와 형태는 같으나, 말끝을 내리면 평서형, 끝을 올려 말하면 묻 는 말(의문형)이 됨. 글로 쓸 때는 반드시 뒤에 물음표(?)를 붙여야..

<제20강> 20-1. 일용품(日用品)

1.단원 설정의 이유 이 단원에서는 매일 우리들의 생활에 쓰이는 물건들의 이름과 그 물건들을 사용하는 말(용언)을 배워 한국어에 더 친 숙하도록 하고자 합니다. 또 지금까지 배워 익힌 어휘들과 문형들을 다양하게 활용해 보도록 합니다. 어법으로서는, 지금까지 평서형(서술형) 서술어를 배웠는데,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묻는 말(의문형 서술어)을 공부하게 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일용품의 명칭과, 그것들과 관련되는 용언 어휘들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묻는 말(의문형 문형)을 이해하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3.본문 비누, 수건, 칫솔, 치약, 빗, 손수건, 안경, 모자, 화장지, 거울, 시계(時計), 수첩, 볼펜, 지갑, 신용카드, 휴대전화, 화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