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제16강> 16-2. 인 사(人事)

○격식체(주로 문어체에서 사용) 높임 아주높임(하십쇼체) : -습(ㅂ)니다, -(으)십시오, -습(ㅂ)니까, -입니다, -입니까. 예사높임(하오체) : -(으)오, -(이)오, -요. 낮춤 예사낮춤(하게체) : -네, -게, -나, -(이)네. 아주낮춤(해라체) : -는(ㄴ)다, -아(어)라, -느냐, -(이)다. ○비격식체(주로 구어체에서 사용) 높임 (해요체) : -아(어)요, -이에(예)요, 낮춤 (해체) : -아/어, -(이)야. (예) 구분 어휘 높임 낮춤 아주높임(하십쇼체) 예사높임(하오체) 예사낮춤(하게체) 아주낮춤(해라체) 먹-다, 보-다 먹습니다, 봅니다 먹으오, 보오 먹네, 보네 먹는다, 본다 집-이다, 나무-다 집입니다, 나뭅니다 집이오, 나무요 집이네, 나무네 집이다, 나무다 구분 ..

<제16강> 16-1. 인 사(人事)

1.단원 설정의 이유 성인의 언어생활에서 가장 먼저 필요로 하는 것이 ‘인사’입니다. 그런데 어느 나라 말이든 인사는 대체로 ‘관용어(慣用語)’가 많습니다. 관용어는 습관적으로 쓰이는 말로서 말의 어원이나 어법을 따지지가 힘들기 때문에, 그냥 입에 익숙하게 익혀서 습관적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 단원에서 배워 앞으로는 공부할 때만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한국어 인사말’을 자주 사용하여 습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한국사람들의 여러 가지 인사말을 알아듣고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 - 말하는 상대방에 따라 종결어미를 달리하여 높낮이를 나타내는 존비법이 있는데, 이것을 이해하고 익힌다. 3.본문 안녕히 주무셨어요? 잘 먹겠..

<제16강> 16. ‘한국어 익히기’를 시작하며

어떤 언어를 습득한다고 하는 것은, 그 언어의 ①어휘와 ②어법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잘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①어휘는 학습자가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스스로 많은 어휘를 암기하도록 노력해야 하 지만, 지도자는 학습자가 어 휘들을 쉽게 암기하고, 그것들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 법을 터득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러자면 강의할 때에도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여 러 번 반복 사용하거나, 흥미를 유발하게 하거나,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방 법을 고안 해야 합니다. ②어법은, 어려서(임계기 이전) 습득하는 언어는 어법을 습관적으로 터득하게 되지만, 성장 해서(임계기 이후) 학습으로 배우는 언어는, 어법의 이치를 일일이 설명을 들어야 이해하기 쉽고, 또 그 법칙이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