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제18강> 18-1. 수(數)

1.단원 설정의 이유 우리의 생활은 수(數)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생활속에서 수 어휘의 사용 빈도는 매우 높습니다. 외국인이 한국에 왔을 때에도 수(數)를 한국말로 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능력이 됩니다. 따라서 이번 단원은 고유어계와 한자어계에서 만 단위까지의 기본 어휘를 익혀서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어법에서는 ‘주어(~이/가, ~은/는) + 체언서술어(~이다/~다).’ 문형(체언서술어의 평서문)을 익히도록 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만 단위까지의 수(고유어, 한자어)를 듣고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체언서술어의 평서문(‘~이/가, ~은/는 + (이)다.’문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3.본문 일(1)..

<제17강> 17-2. 우리 가족(家族)

⑶실용 회화 여러 번 듣고 말하여 귀와 입에 익숙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할아버지, 할머니, 안녕히 주무셨어요? 수미야, 잘 잤니? 어머니, 잘 먹겠습니다. 아버지, 학교에 다녀오겠습니다. 아저씨,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아저씨, 안녕히 가세요. 아주머니,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아주머니, 안녕히 계세요. 수미야, 안녕, 고마워, 미안해. 잘 자. 할아버지, 할머니, 안녕히 주무세요. ※아저씨, 아주머니 : 결혼한 듯해 보이는 중년 이상의 남자 어른, 여자어른을 부를 때 쓰는 말 ※형, 오빠, 누나, 언니 : 가족 이외에,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자기보다 나이가 많아 보이는 사람에 대하여 친근하게 부르 는 말. ※‘수미’는 나보다 아랫사람이므로 낮춤말을 씁니다. ⑷어법 조사 : 체언(명사,대명사,수..

<제17강> 17-1. 우리 가족(家族)

1.단원 설정의 이유 나와 가까운 가족의 지칭, 호칭을 알고 말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근간이 되는 가족 제도를 이해하게 합니다. 주의할 점은 대가족 제도에서 보면 가족의 범위가 매우 넓고 자연히 호칭도 많아지는데, 초보인 상태에서 너무 욕심을 내어 많은 것을 가르치려고 하지 말고, 사용 빈도가 높은 호칭만 적당히 제한할 줄 아는 것도 지도 요령의 하나가 됩니다. 어법으로는 ‘~이/가(주격조사) + 있다/없다.’의 문형을 익혀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가족의 호칭,지칭을 알고 바르게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이/가(주격조사) 있다/없다.’의 문형을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3.본문 우리 집에는 할아버지, 할머니가 계셔(세)요.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