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제15강> 15. 한글 읽기 연습 3(연음법칙)

학습목표 : ①연음법칙을 이해하고 한글 읽기와 말하기에서 적용할 수 있다. 가. 연음법칙(連音法則) ①홑받침이나 쌍받침(ㄲ,ㅆ)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또는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 그 받침음이 뒤 음절의 첫소 리로 옮아 발음된다. (예) 옷+이[오시], 눈+은[누는], 꽃+을[꼬츨], 가을+에[가으레], 집+에서[지베서], 동물+의[동무릐], 앞+으로[아프로], 영 숙+아[영수가] 깎+아[까까], 있+어[이써], 먹+었어[머거써], 덮+이다[더피다], 만들+어라[만드러라], 팔+아서[파라서] ②한 어휘 속에서 뒷음절이 모음일 때 앞 음절의 받침이 뒤로 옮아 발음된다. (예) 국어[구거], 군인[구닌], 금요일[그묘일], 목욕[모굑], 언어[어너], 음악[으막], 입원[이붠], 잠옷[자몯], 참..

<제14강> 14. 한글 읽기 연습 2 (받침 있는 글자)

학습목표 : ①받침 있는 글자를 정확한 발음으로 읽을 수 있다. ②한국어의 어휘를 습득한다. 다음과 같은 학습 보조 자료, 또는 그림,낱말 카드를 준비하여 수업에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 어휘 읽기 자료(받침 없는 글자) (자료는 첨부파일에 올립니다) 나. 지도상의 유의 -자료를 제작할 때, 여러 가지 받침의 어휘(가능하면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고르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운 발음법에 의하여 한 글자 한 글자를 천천히, 확실하게 읽도록 합니다. 처음에 확실한 발음법을 익혀 두어야 합니 다. 처음에 대충 적당히 넘어가면 나중에 반드시 문제가 생깁니다. -읽기 어려운 글자라고 하여 그냥 따라 읽기를 시키면 응용 능력이 생기지 않습니다. 처음에 좀 귀찮고 힘들더라도 글자 의 자모를 분해하여 ..

<제13강> 13. 받침 읽기

학습목표 : ①받침 있는 글자를 정확한 발음으로 읽을 수 있다. ②한국어의 어휘를 습득한다. 가. 받침 읽기 자음 19자 중에서 받침으로 쓰이는 글자는, ‘ㄸ,ㅃ,ㅉ’를 제외한 16자(아래 표 참조)이고, 그것 외에 겹받침 11자(ㄳ,ㄵ, ㄶ,ㄺ,ㄻ,ㄼ,ㄽ,ㄾ,ㄿ,ㅀ,ㅄ)가 있는데, 모두 합하면 27종류가 되는 셈입니다. 그러나 지금 이 단계에서는 겹받침 얘기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겹받침은 한글 읽기가 끝나고 어휘나 문장 공부에서 겹받침이 나오면 그 때에 하나씩 설명해 서 익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겹받침 낱말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급적 뒤에 나오도록 교재를 만 들면 좋습니다. 받침으로 쓰이는 자음 16자도 실제로 발음되어 소리나는 것은, 아래 표와 같이 대표음 7음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