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제6강> 6. 한글의 자모(字母)와 발음의 지도(1)

가. 성인 교육에서 한글 자모(字母)부터 가르쳐야 하는 이유 *모어(母語)는, 사람이 태어나 자라가면서 먼저 음성언어를 습관적으로 습득하게 되고, 그 다음에 문자를 학습함으로써 완전하게 습득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임계기(臨界期;critical period) 이전의 어린이는, 언어 환경이 바뀌어도 곧 바뀐 언어를 습관적으로 습득하게 되나, 그 이 후의 연령에서는 학습을 통하여 제2언어로 습득하게 됩니다. *임계기 이전의(초등학교 저학년 이하) 어린이는 아직 논리력 사고력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대신 암기력이 뛰어나서, 사 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자 교육을 먼저 하기보다, 흥미 위주의 듣기 말하기로 말을 습득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성인들 은 논리적인 사고력이 발달되어 있고, 암기는 반드시 이해를 전제..

<제5강> 5. 지도할 때의 유의점과 언어에 대한 이해

가. 지도할 때의 유의점 교육의 질은 지도자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어떤 교육에서든 지도자의 역할이 막중하다는 것입니다. 더구나 오직 지도자에게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외국에서의 한국어 학습 초보자에게 있어서 지도자의 역할은 가히 절대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도자가 지도하는 대로만 한국어를 이해하고, 언어 기능도 그를 따라 흉내 내며 익혀 나갈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는 것입니다. 어떤 영상 학습자료나, 음성 학습자료도 선생님의 영향력을 능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외국에서 유능한 한국어 지도자가 되려면 지도에 필요한 자질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한국어학과 교육 이론에도 박식해야 하겠고, 현지어(現地語)도 능통해야 하며, 수업 현장에서의 지도 요령도 능숙해야 할 것입니다. 지도 ..

<제4강> 4. 교육 계획 및 수업 준비

가. 교육 계획 교육이 사람을 바르게 기르기 위한 의도된 행위라면, 의도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교육 계획을 세운다는 것은, 정해진 교육 기간 동안에, 기대하는 교육 목표에 학습자들이 최대한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련의 교육 활동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 조직화,체계화하는 일입니다. 학년에 따라 교육과정(敎育課程)이 확실하게 정해져 있는 학교 교육에서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따라 교사가 수업 준비를 하여 교수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교과서는 어디까지나 기본을 제시해 줄 뿐이기 때문에 그것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여서는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렵습니다. 지역마다 처한 상황이나 조건,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능력이나 특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