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제25강> 25-2. 집

⑷어법(유의:설명할 때 학습자가 복잡하다고 느끼지 않도록 단순하고 실용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지 마세요(금지 명령) : ‘하면 안 된다’는 명령을 할 때 쓰는 어법입니다. ‘~지 마세요’가 공손한 말이지만, 보다 높 임말은 ‘~지 마십시오’이고, 손 아래 사람에게 하는 낮춤말은 ‘~지 마라’입니다. *~지 말아요(금지 청유) : 상대방에게 ‘하지 않을 것’을 권유하는 어법입니다. 보다 높임말은 ‘~지 맙시다’ 낮춤말은 ‘~지 마라’ 입니다. ※마세요, 말아요, 맙시다 의 기본형은 ‘말다’입니다. *~에서 : 격조사, 『체언 뒤에 붙어』①장소를 나타냄. (예)우리는 학교에서 공부한다. ②출발점을 나타냄. (예)서울에서 출발하였다. ③단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주어임을 나타냄. (예)우리 학교에서 ..

<제25강> 25-1. 집

1.단원 설정의 이유 이 단원에서는 일상생활의 기본인 의식주(衣食住) 생활 중에서 집, 가구(家具)와 관련된 기본적인 어휘와 대화들을 학 습하게 됩니다. 어법에서는, 명령‧청유문의 부정형, 즉 금지하는 명령문과 청유문을 배우게 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집, 가구와 관련되는 언어들을 듣고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명령’과‘청유’의 부정형, 즉 금지하는 명령‧ 청유문을 이해하고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3.본문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住宅), 방, 거실(居室), 화장실(목욕실), 주방, 현관, 층, 옷장, 화장대, 책장, 냉장고, 에어컨, 선풍기, 세탁기, 신발장, 책상, 컴퓨터, 전화기, 담배, 켜다, 타다, 피우다, 떠들다, 말다 우리 집은 아파트예요...

<제24강> 24-2. 옷

⑶실용 회화 - 나는 모자를 안 써요(나는 모자를 쓰지 않아요) - 형은 넥타이를 못 매요(형은 넥타이를 매지 못해요) - 누나는 치마를 안 입어요(누나는 치마를 입지 않아요) - 이 운동화는 작아요. 못 신어요(이 운동화는 작아요. 신지 못해요) - 어머니는 청바지를 못 입어요(어머니는 청바지를 입지 못해요) ※ 입는 것과 동사 호응 - 모자 → 쓰다. 벗다. - 옷 → 입다. 벗다. - 넥타이, 허리띠 → 매다, 풀다. - 구두, 양말 → 신다. 벗다. - 장갑 → 끼다. 벗다. ⑷어법(유의:설명할 때 학습자가 복잡하다고 느끼지 않도록 단순하고 실용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못 부정문’ : 앞 단원에서 배운 '안 부정문'과는 그 의미가 달라서 ‘주체의 의지와 상관없이 주어의 능력 부족이나 외 부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