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제30강> 30-2. 계절

⑷어법(유의:설명할 때 학습자가 복잡하다고 느끼지 않도록 단순하고 실용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보조용언은 12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진행보조용언(~고 있다)과 부정보조용언(~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 은 이미 앞에서 배운 바가 있습니다.) ※ 보조용언(補助用言) : 형태상으로는 일반 동사나 형용사와 다를 바 없지만, 자립성이 약하여 앞의 본용언에 기대어 뜻을 더해 주면서 본용언과 함께 서술어가 되는 용언이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보조적 연결 어미(전항 참조)로 이어지는 모양은 다음과 같다. 본 용 언 + 보조적 연결어미 (~아,~게,~지,~고) + 보조용언 (동 사) (형용사)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보조용언의 종류 명칭 종류 본용언 어미 예문 ①피동 보조동사 되다, 지다 ~게, ~아..

<제30강> 30-1. 계절

1.단원 설정의 이유 이 단원에서는 계절과 관련되는 어휘와 기본적인 대화를 학습할 것입니다. 계절 변화는 우리의 생활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언어들을 배워야 하는데, 이것으로 학습 언어 영역이 좀 더 확대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어법으로는 보조용언을 공부하게 됩니다. 보조용언은 12가지가 있는데 이미 두 가지는 배웠고(진행보조용언:~고 있 다, 부정보조용언:~지 않다. ~지못하다. ~지 말다), 그 나머지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①희망 보조용언(~고 싶다), ② 시행 보조용언(~아/어 보다)을 학습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계절과 관련되는 기본 어휘와 대화들을 듣고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보조용언 2가지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바르게 사용..

<제29강> 29. 운동(運動)

1.단원 설정의 이유 현대인의 건강한 생활, 취미 생활에 필수적인 것이 스포츠 입니다. 이 단원에서는 운동(運動)과 관련되는 기본 어휘 와 대화를 학습하려고 합니다. 한국어의 큰 특징의 하나는 ‘높임법’이 엄격하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대화하는 상대방을 높이는 ‘상대높임’으로는, 서술어의 어미로 구분하는 ‘해요체’ 하나를 집중적으로 공부하였습니다(그 외에 합쇼체, 하오체 등이 있음). 이 단원에 서는 선어말어미 ‘~(으)시~’로 나타내는 ‘주체높임’(말의 주어를 높이는 것)을 학습합니다. 이것은 대체로 앞 단원에서 배운 높임의 주격조사(~께서)와 호응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운동과 관련되는 기본 어휘와 대화들을 듣고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주체존대 선어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