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한국어교육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들께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시고 해외에서 한국어교육에 진력하시는 여러분께 심심한 경의를 표합니다. 해외의 사정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없을까 하여 이 홈페이지를 열었고, 처음에 꽤 기대했었는데, 반응이 별로 신통치 않은데다가, 이상한 사람들이 들어와 훼손해 놓는 일도 가끔 있어서, 솔직히 최근에는 잘 들여다보지도 않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 미국 동부의 박수미 선생님께서 여기 자료가 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하시면서, MSWord로 바꾸어 올려줄 수 없겠느냐는 요청이 있었습니다. 말씀을 듣고 나서야 해외에서는 HWP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기쁜 마음으로 강의실에 올려놓은 것들을 MSWord로 고쳐 첨부파일로 올려 놓았습니다(제 MS Word 능력..

워싱턴 연합 한글학교 교사 연수(3)

제30항(합성어 또는 접두사 붙은 말) :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①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나뭇가지, 냇가, 머릿기름, 바닷가, 뱃길, 아랫집, 찻집, 햇볕 ②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③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 뒷일, 베갯잇, 깻잎, 나뭇잎, 댓잎 2.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①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아랫방, 전셋집, 찻잔, 텃세, 햇수, 횟가루 ②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곗날, 제삿날, 훗날, ..

워싱턴 연합 한글학교 교사 연수 (2)

4. 한글 맞춤법 문교부 고시 제88-1호(1988.1.19) 제1장 총 칙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조사, 어미는 앞 말에 붙여 씀) 제3항 :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제2장 자 모 제4항 :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생략) 제3장 소 리 제6항(구개음화) :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이, -히’가 오면 그 ‘ ㄷ, ㅌ'이 'ㅈ, ㅊ'로 소리남. (예) 굳이→구지, 같이→가치, 해돋이→해도지, 붙이다→부치다, 닫히다→다치다 제8항(모 음) :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나 는 경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