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강의실

워싱턴 연합 한글학교 교사 연수(3)

최길시 2021. 9. 26. 20:38

워싱턴_연합_한글학교_교사_연수_내용(3).docx
0.02MB

 

  제30항(합성어 또는 접두사 붙은 말) :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①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나뭇가지, 냇가, 머릿기름, 바닷가, 뱃길, 아랫집, 찻집, 햇볕

     ②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③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 뒷일, 베갯잇, 깻잎, 나뭇잎, 댓잎

    2.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①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아랫방, 전셋집, 찻잔, 텃세, 햇수, 횟가루

     ②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③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횟수(回數)

  제31항(합성어 또는 접두사 붙은 말) : 두 말이 어울려 'ㅂ' 또는‘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예) 볍씨, 입쌀, 좁쌀, 햅쌀/머리카락, 수캐, 암탉, 안팎, 살코기

  제33항(준 말) :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다.

     (예) 그것이→그게, 그것을→그걸, 나는→난, 무엇을→무얼→뭘

 제35항(준 말) : 모음 'ㅗ, ㅜ'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려 'ㅘ/ㅝ, 왔/웠'으로 되면 준 대로 적는다.

     (예) 보아→봐, 보았다→봤다, 주어→줘, 주었다→줬다

     'ㅚ'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왰' 으로 되면 준 대로 적는다. : 되어→돼, 되었다→됐다/ 놓아→놔 ' 좋아'가 '좌'로

      되지는 않는다.

  제37항(준 말) : 'ㅏ, ㅕ, ㅗ, ㅜ, ㅡ'로 끝난 어간에 '-이-'가 와서 각각 'ㅐ, ㅖ, ㅚ, ㅟ, ㅢ'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

                      이다→뵈다, 쏘이다→쐬다, 누이다→뉘다, 뜨이다→띄다, 쓰이다→씌다

  제39항(준 말) :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과 '-하지' 뒤에 '않-'이 어울려 '-찮-'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

                      는다.

     (예) 그렇지 않은 → 그렇잖은, 적지 않은 →적잖은, 깨끗하지 않다 → 깨끗잖다, 두렵지 않다 → 두렵잖다

           : 만만하지 않다→만만찮다, 변변하지 않다 → 변변찮다, 심심하지 않다 → 심심찮다, 시원하지 않다 →시원찮다

 

제5장 띄어쓰기

  제41항(조 사) : 조사는 그 앞 말에 붙여 쓴다.

     (예) 꽃이, 꽃마저, 꽃밖에, 꽃에서부터, 꽃으로만, 꽃이다, 꽃처럼, 어디까지나, 거기도, 멀리는, 웃고만

  제42항(의존명사) :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 아는 것이 힘이다.

     (예) 나도 할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를 만났다. 네가 뜻한 를 알겠다. 그가 떠난 가 오래다.

  제45항(연결,열거하는 말) : 두 말을 잇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

     (예) 국장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백군, 책상, 걸상 이 있다, 이사장 이사들, 사과, 배, 귤 등등,, 부산, 광주

           등지

  제48항(성과 이름) :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예) 김양수, 서화담, 채영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고

          준, 황보지봉/황보 지봉

 

제6장 그 밖의 것

  제51항(부사 끝음절 '-이', '-히') :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예) 깨끗이, 따뜻이, 가까이, 많이, 헛되이, 틈틈이/ 특히, 급히, 엄격히, 정확히/ 솔직히, 가만히, 쓸쓸히, 열심히, 분명

           히, 조용히, 고요히

 제53항(어미 적기) : 다음과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예) -(으)ㄹ거나, -(으)ㄹ걸, -(으)ㄹ게, -(으)ㄹ세, -(으)ㄹ수록, -(으)ㄹ지, -(으)ㄹ지라도, -(으)ㄹ지언정, -올시다

          다만, 의문을 나타내는 다음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는다. : -(으)ㄹ까?, -(으)ㄹ꼬?, -(스)ㅂ니까?, -(으)리까?, -(으)ㄹ

          쏘냐?

  제54항(접미사 적기) : 다음과 같은 접미사는 된소리로 적는다.

     (예) 장난꾼, 지게꾼, 심부름꾼, 일꾼 / 귀때기, 볼때기, 판자때기/뒤꿈치,팔꿈치/ 빛깔, 때깔, 성깔 / 코빼기, 이마빼기/

          겸연쩍다

  제55항 : 두 가지로 구별하여 적던 다음 말들은 한 가지로 적는다.

     (예) 맞추다(입을 맞춘다. 양복을 맞춘다.) 맞추다(✕)

          뻗치다(다리를 뻗친다. 멀리 뻗친다.) 뻐치다(✕)

  제56항 : '-더라, -던'과 '-든지'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더라, -던) :

     (예) 그렇게 좋던가?(o) 그렇게 좋든가?(✕)

    *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어미 (-든(지) :

     (예) 가든지 오든지(o) 마음대로 해라. 가던지 오던지(✕) 마음대로 해라.

  제57항 :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

     (예) 거름/걸음, 거치다/걷히다, 그러므로/그럼으로(써),그렇게 함으로써, 노름/놀음, 느리다/늘이다/늘리다, 다리다/달

           이다, 다치다/닫히다/닫치다, 마치다/맞히다, 바치다/받치다, 반드시/반듯이, 부치다/붙이다, 시키다/식히다, 안치

           다/앉히다, 어름/얼음, 저리다/절이다, 조리다/졸이다, 주리다/줄이다, , -(으)러/-(으)려, -(으)로서/-(으)로써, -(으)

           므로/-(음)으로(써)

 

부록 : 문장부호<생략>

                                                                  끝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