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워싱턴 연합 한글학교 교사 연수(1)

강사 : 언어문화학박사 최 길 시 강의 내용 1. 머 리 말 * 세계의 언어 : * 한국어와 해외 한글학교의 역할 : *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 * 미래인으로서의 언어 능력 : 2. 언어 교육 * 모어(母語)는 학습이 아니라 생활습관으로 습득 : * 과도한 교육열로 제2언어 교육 연령이 점차 하향 : * 제1언어 형성 이전에 제2언어 강제 주입은 사고력, 논리력 발달에 영향 미침 (언어 교육 연구) : 3. 한국어 지도 요령 (1) 수강자의 연령에 따라 지도 방법 달라야 임계기(臨界期, critical period) 이전, 이후의 지도 방법이 달라야 * 이전 : 음성언어 중심으로(문자는 나중), 어휘와 짧은 문장을 정확한 발음으로 흉내 내도록(들어오는 언어를 비판없이 그냥 입력하는 시기). * 이후 :..

강의를 마치며

강의실 문을 처음 열 때에는 근사한 강의를 해 볼 것이라는 단단한 각오와 의욕에 불탔었는데, 막상 시작하고 보니 다음 강의를 이어 나가는 데에만도 시간에 쫓겨 항상 급급하였고, 거기에다 강의를 이용하는 조회 수가 너무 적어 열정도 점점 식어가, 학습자료 같은 것을 충분하지 제공하지 못한 채 강의를 끝내게 되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강의는 처음 계획하였던 대로 ①해외에서, ②높은 수준의 한국어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③초보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언어 재료는 한국어 습득의 초보 수준에 필요한 것으로 한정하였는데, 기초어휘(基礎語彙) 약 550어, 조사(助詞) 20여, 어미(語尾) 30여, 한자(漢字) 80여개를 제시하여 그것을 집중적으로 익히도록 하였습니다. 특히 이 언어 재료들은 사용빈도가 ..

<제34강> 34-1.2 한국(韓國) 관광

1.단원 설정의 이유 지난 2월 11일에 시작한 이 강의(한국어 학습을 시작하는 외국인(성인)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는 이 단원으로 끝을 맺 습니다. 한국어 구사의 가장 기초적 ‘어휘, 어법, 어형’의 학습이 끝나기 때문입니다. 이후의 학습은 이것들을 심화, 확장 하면 될 것입니다. 이 단원도 전 단원에 이어 한국의 문화에 관심을 높이고 한국인과의 접촉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려는 의도로 설정하였 습니다. 어법도 전 단원에 이어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인 ‘어미’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이미 알고 있듯이, 조사는 체 언(명사,대명사,수사)에 붙어 그것의 문장에서의 역할을 정해주거나 미묘한 의미를 더해주고, ‘어미’는 용언(동사,형용 사)의 어간에 붙어 그것의 문장에서의 역할을 나타내거나 미묘한 의미를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