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5

<제24강> 24-1. 옷

1.단원 설정의 이유 이 단원에서는 ‘입는 것’에 관한 기본적인 어휘를 학습하려고 합니다. 학습자들은 성인이기 때문에 그들의 모어(母語) 로는 이미 거의 모든 어휘를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단원에서 제시되는 어휘로는 매우 부족함을 느끼겠지만, 처음부 터 한 영역의 어휘를 자세하게 공부하는 것보다 먼저 생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언어를 익히고 그 영역을 점점 넓고 깊 게 확대해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각자의 능력과 필요에 따라서 각 단원마다 가감해 나가면 될 것입니 다. 어법에서는, 부정문 중에서 주체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능력이나 상황으로 인한 부정을 나타내는 방법인 ‘못 부정 문’을 배우게 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입는 것에 관하여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들을 듣고 말할 수 있다...

<제23강> 23-2. 식 사(食事)

⑵어휘 공부 새로 나온 낱말 : 반찬, 물, 김치, 찌개, 국, 고추장, 후식, 빵, 우유, 야채, 그릇, 숟가락, 젓가락, 포크, 컵, 식탁, 마시다. 드시다, 맛 있다. 맵다. 한식, 양식, 일식(日食), 배고프다, 않다, 안, 좋아하다, 그럼 새로 나온 조사 : 새로 나온 어미 : ~지(뒤에 부정, 금지 하는 말이 올 때 쓰는 어미. '~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 등) ⑶실용 회화 -아주머니, 안녕히 주무셨어요? =안녕히 주무셨어요? 세수하고 아침 식사하세요. -저는 아침에 밥을 먹지 않아요. 빵과 우유를 먹어요. =그럼, 빵과 우유와 야채와 계란을 드세요. -아주머니, 포크가 없어요. =네, 여기 있어요. 커피 안 드세요? -주세요. 커피를 좋아해요. =나는 빵을 좋아하지 않아요..

<제23강> 23-1. 식 사(食事)

1.단원 설정의 이유 우리의 생활에서 가장 절실하고도 기본적인 일은 ‘먹는 일’이라고 할 것입니다. 이 단원에서는 식사와 관련되는 기본 어휘와 그것을 이용한 기초적인 대화를 학습하려고 합니다. 어법에서는 용언서술어의 부정문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용언서술어를 부정하는 것은 세 가지가 있는데, ①‘안’ 부정문 (부사 ’안‘을 쓰는 경우와, ’~지 않다‘를 쓰는 경우), ②’못‘부정문(부사 ’못‘을 쓰는 경우와 ’~지 못하다‘를 쓰는 경우), ③’명령,청유‘에서 금지를 나타낼 때 등입니다. 이 단원에서는 동사서술어, 형용사서술어를 부정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안’ 부정문을 학습합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식사할 때 사용되는 말들을 알고 바르게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