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강의실 55

<제14강> 14. 한글 읽기 연습 2 (받침 있는 글자)

학습목표 : ①받침 있는 글자를 정확한 발음으로 읽을 수 있다. ②한국어의 어휘를 습득한다. 다음과 같은 학습 보조 자료, 또는 그림,낱말 카드를 준비하여 수업에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 어휘 읽기 자료(받침 없는 글자) (자료는 첨부파일에 올립니다) 나. 지도상의 유의 -자료를 제작할 때, 여러 가지 받침의 어휘(가능하면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고르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운 발음법에 의하여 한 글자 한 글자를 천천히, 확실하게 읽도록 합니다. 처음에 확실한 발음법을 익혀 두어야 합니 다. 처음에 대충 적당히 넘어가면 나중에 반드시 문제가 생깁니다. -읽기 어려운 글자라고 하여 그냥 따라 읽기를 시키면 응용 능력이 생기지 않습니다. 처음에 좀 귀찮고 힘들더라도 글자 의 자모를 분해하여 ..

<제13강> 13. 받침 읽기

학습목표 : ①받침 있는 글자를 정확한 발음으로 읽을 수 있다. ②한국어의 어휘를 습득한다. 가. 받침 읽기 자음 19자 중에서 받침으로 쓰이는 글자는, ‘ㄸ,ㅃ,ㅉ’를 제외한 16자(아래 표 참조)이고, 그것 외에 겹받침 11자(ㄳ,ㄵ, ㄶ,ㄺ,ㄻ,ㄼ,ㄽ,ㄾ,ㄿ,ㅀ,ㅄ)가 있는데, 모두 합하면 27종류가 되는 셈입니다. 그러나 지금 이 단계에서는 겹받침 얘기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겹받침은 한글 읽기가 끝나고 어휘나 문장 공부에서 겹받침이 나오면 그 때에 하나씩 설명해 서 익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겹받침 낱말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급적 뒤에 나오도록 교재를 만 들면 좋습니다. 받침으로 쓰이는 자음 16자도 실제로 발음되어 소리나는 것은, 아래 표와 같이 대표음 7음 뿐입니다...

<제12강> 12. 한글 읽기 연습 1 (받침 없는 글자)

학습목표 : ①받침 없는 글자를 정확한 발음으로 읽을 수 있다. ②한국어의 어휘를 습득한다. 다음과 같은 학습 보조 자료, 또는 그림, 낱말 카드를 준비하여 수업에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 어휘 읽기 자료(받침 없는 글자) (자료는 첨부파일에 올립니다) 나. 지도상의 유의 -모음에 따른 입 벌림을 확실히 하도록 합니다. -한 글자 한 글자를 천천히 확실하게 읽도록 합니다. -어려운 글자라도, 성급하게 지도자에 따라 읽도록 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가 글자의 자모를 분해하여 읽는 법을 생각하도록 합니다. (예: 홰 = 먼저 모음 'ㅙ(ㅗ+ㅐ)'의 음을 생각한 다음, ‘ㅎ(h)’음에 ‘ㅗ’음의 입모양을 하였다가 ‘ㅐ’로 입모양을 바꿉니다. -개인별로 발음의 정확성을 확인, 교정해 줍니다. -여러 ..

<제11강> 11. 한글의 자모(字母)와 발음의 지도(6)

학습목표 : ①자음의 음가 이해, ②받침 없는 음절의 정확한 발음, ③자음을 바르게 쓰기 (3)혓바닥소리 ‘ㅈ,ㅉ,ㅊ’은 혓바닥과 입천장 사이 에서 나는 소리인데, 첨부파일의 그림을 봐 주세요 발음하는 방법은 혓바닥을 센입천장(입천장의 가운데 부분)에 대었다 가 터뜨린 다음에 숨을 그 사이로 내보내면서 마찰시켜 소리냅니다. 글자 모양은 ‘ㅅ’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고 ‘훈민정음‘에 설명하고 있 습니다만, ’ㅅ‘발음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음가: ㅈ[ʦ,ʤ: 혓바닥과 입천장 사이의 파찰 무성음]-혓바닥을 센입천장에 대었다가 살짝 떼면서 그 사이로 숨을 마찰시켜 내 보내면서 모음과 함께 소리냄. ㅉ[ʦ’ : 혓바닥과 입천장 사이의 파찰 무성음]-‘ㅈ’보다 혓바닥을 더 단단히 센입천장에 붙였다가 떼면서 숨을 ..

<제10강> 10. 한글의 자모(字母)와 발음의 지도(5)

학습목표 : ①자음의 음가 이해, ②받침 없는 음절의 정확한 발음, ③자음을 바르게 쓰기 (2)혀끝소리 ‘ㄴ,ㄷ,ㄸ,ㅌ/ㅅ,ㅆ/ㄹ’은 혀끝과 윗니의 뒷부분이나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인데, 발 첨부파일의 그림을 보아주세요 음하는 방법은 ‘ㄷ, ㄸ,ㅌ’은 터뜨려서 내는 소리 이고, ‘ㅅ, ㅆ’은 마찰하여 내는 소리이고, ‘ㄴ’은 소리가 코로 나는 유성음이고, ‘ㄹ’은 혀끝을 잇 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면서 소리 냅니다. 글자 모양은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따 서, ‘ㄴ’을 만들고, 그것을 조금씩 변형하여 ‘ㄷ,ㄸ, ㅌ’을 만들었으며, ‘ㅅ,ㅆ’은 이[齒]의 모양을 본땄 고, ‘ㄹ’은 혀의 모양을 본땄으나 꼴을 달리하였음을 설명해 주면 좋습니다. *음가: ㄴ[n : 콧속 울림소리]-혀끝을 윗잇몸에 ..

<제9강> 9. 한글의 자모(字母)와 발음의 지도(4)

학습목표 : ①자음의 음가 이해, ②받침 없는 음절의 정확한 발음, ③자음을 바르게 쓰기 라. 자음(子音)의 이해와 지도 자음은 제 홀로는 음절을 이루지 못하고, 반드시 모음과 합하여야만 음절을 이루어 발음이 가능합니다. ‘ㄱ=기역, ㄴ=니은, ……'은 그것의 쓰임을 가지고 만든 명칭이지 발음이 아닙니다. 따라서 그것을 초보자에게 그것을 억지로 외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오히려 학습자로 하여금 한글이 어렵다는 인상만 줄 뿐입니다. 자음은 아래에 있는 19자가 전부입니다. 그러니까 앞에서 배운 모음 21자와 이 자음 19자만 익히면 한글 공부는 사실상 끝입니다. (1)한글의 자음 분류 자음 분류표(子音分類表) 발음위치 발음방법 입술소리 (兩脣音) 혀끝소리(舌端-齒槽音) 혓바닥소리(舌面-硬..

<제8강> 8. 한글의 자모(字母)와 발음의 지도(3)

(6)이중모음 익히기 학습목표 : 이중모음의 정확한 발음과 바르게 쓰기 ① ② 音價:Уa 쓰 기 연 습 音價:yə 쓰 기 연 습 ㅑ ㅕ ③ ④ 音價:yo 쓰 기 연 습 音價:yu 쓰 기 연 습 ㅛ ㅠ ⑤ ⑥ 音價:yƐ 쓰 기 연 습 音價:ye 쓰 기 연 습 ㅒ ㅖ ⑦ ⑧ 音價:wa 쓰 기 연 습 音價:wə 쓰 기 연 습 ㅘ ㅝ ⑨ ⑩ 音價:wƐ 쓰 기 연 습 音價:we 쓰 기 연 습 ㅙ ㅞ ⑪ 音價: ï? 쓰 기 연 습 ㅢ *설명 ①‘ㅑ=ㅣ+ㅏ’, ‘ㅕ=ㅣ+ㅓ’, ‘ㅛ=ㅣ+ㅗ’, ‘ㅠ=ㅣ+ㅜ’, ‘ㅒ=ㅣ+ㅐ’, ‘ㅖ=ㅣ+ㅔ’의 이중모음임. ‘ㅣ’를 먼저 발음하므로 ‘ㅣ’선 행모음(先行母音)이라고 함. ②‘ㅘ=ㅗ+ㅏ’, ‘ㅝ=ㅜ+ㅓ’, ‘ㅙ=ㅗ+ㅐ’, ‘ㅞ=ㅜ+ㅔ’의 이중모음임 ③ㅢ=‘ㅡ+ㅣ’의 이중모음임..

<제7강> 7. 한글의 자모(字母)와 발음의 지도(2)

(5)단모음 익히기 학습목표 : 단모음의 정확한 발음과 바르게 쓰기 音價: a 쓰 기 연 습 ㅏ ㅏ 音價: ə 쓰 기 연 습 ㅓ ㅓ 音價: o 쓰 기 연 습 ㅗ ㅗ 音價: u 쓰 기 연 습 ㅜ ㅜ 音價: ï 쓰 기 연 습 ㅡ ㅡ 音價: ? 쓰 기 연 습 ㅣ ㅣ (가)지도의 요점 ①하나하나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여러 번 연습시킬 것. ②필순(筆順)에 맞게 바르게 쓰도록 할 것. ③글자와 발음을 암기하도록 할 것(하나씩 발음하며 쓰기) (나)지도에서의 유의점 ①출신국에 따라, 자기 나라에 없는 음을 잘 발음하지 못함. 대체로 위의 것 중에서는 ‘ㅓ, ㅡ’를 잘 못하는 사람이 많음. 특히 일본인들은 ‘ㅓ’를 잘 못함. ②잘 되지 않는 것을 익숙하도록 집중적으로 연습시켜야 함. ③발음이 정확하지 못하면 ..

<제6강> 6. 한글의 자모(字母)와 발음의 지도(1)

가. 성인 교육에서 한글 자모(字母)부터 가르쳐야 하는 이유 *모어(母語)는, 사람이 태어나 자라가면서 먼저 음성언어를 습관적으로 습득하게 되고, 그 다음에 문자를 학습함으로써 완전하게 습득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임계기(臨界期;critical period) 이전의 어린이는, 언어 환경이 바뀌어도 곧 바뀐 언어를 습관적으로 습득하게 되나, 그 이 후의 연령에서는 학습을 통하여 제2언어로 습득하게 됩니다. *임계기 이전의(초등학교 저학년 이하) 어린이는 아직 논리력 사고력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대신 암기력이 뛰어나서, 사 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자 교육을 먼저 하기보다, 흥미 위주의 듣기 말하기로 말을 습득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성인들 은 논리적인 사고력이 발달되어 있고, 암기는 반드시 이해를 전제..

<제5강> 5. 지도할 때의 유의점과 언어에 대한 이해

가. 지도할 때의 유의점 교육의 질은 지도자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어떤 교육에서든 지도자의 역할이 막중하다는 것입니다. 더구나 오직 지도자에게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외국에서의 한국어 학습 초보자에게 있어서 지도자의 역할은 가히 절대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도자가 지도하는 대로만 한국어를 이해하고, 언어 기능도 그를 따라 흉내 내며 익혀 나갈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는 것입니다. 어떤 영상 학습자료나, 음성 학습자료도 선생님의 영향력을 능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외국에서 유능한 한국어 지도자가 되려면 지도에 필요한 자질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한국어학과 교육 이론에도 박식해야 하겠고, 현지어(現地語)도 능통해야 하며, 수업 현장에서의 지도 요령도 능숙해야 할 것입니다. 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