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원 설정의 이유
그 나라 언어에 능통해지고 자연스러워지려면 그 나라 언어문화를 이해하여야 하고, 그러자면 그 나라의 전통과 문화
에 가까이 접근하여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 단원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과 민속에 관한 극히 기본적인 어휘들
을 학습하기 위하여 단원 설정을 하였습니다.
첨가어인 한국어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조사’와 ‘어미’의 활용인데, 이 단원에서의 어법 학습
은 ‘조사’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것만 정리하여 학습자의 조사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
국인들이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다음 단원에서 정리할 것임)’를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면 한국어의 학습은 사실상 끝
났다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 다음엔 어휘를 더 풍부히 하고, 숙달하는 연습만 하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일
반 대화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해요체’와 ‘해체’를 익혀왔는데, 남은 두 단원에서 한국어의 가장 공손한 말투인 ‘합쇼
체’를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 ①한국의 명절, 민속과 관련되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들을 듣고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사용 빈도가 높은‘조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이해하고,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④‘합쇼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
3.본문
명절, 민속(民俗), 설(날), 고향, 음력, 새해, 첫날, 차례, 조상(祖上), 아이, 어른, 세배, 위, 아래, 윗사람, 아랫사람, 떡국, 나이, (연세), 연날리기, 널뛰기, 윷놀이, 한복, 추석(날), 거(것), 송편, 성묘, 산소, 달, 농악, 소(싸움), 닭(싸움), 싸우다, 이기다, 지다, 죽다, (돌아가시다), 드리다, 모이다, 즐겁다, 생각하다, 찾아가다, 돌보다, 되다, 가장
한국의 가장 큰 명절은 설과 추석입니다.
사람들은 명절에 고향으로 갑니다.
가족들이 모두 모입니다. 그래서 즐겁습니다.
명절날에는 한복을 많이 입습니다.
설(날)은 음력 1월 1일입니다. 새해 첫날입니다.
설날에는 조상을 생각하며 차례를 드립니다.
아이들은 어른들께 세배를 드립니다.
세배는 설날에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하는 새해 인사입니다.
설날에는 가족이 모여 떡국을 먹고, 윷놀이도 합니다.
추석은 음력 8월 15일이야(이에요).
추석날도 조상에게 차례를 드리고, 성묘를 해(요).
성묘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돌보는 거야(예요).
추석에는 송편을 먹어(요).
나는 설보다 추석이 좋아(요).
날씨도 좋고, 춥지도 덥지도 않아(요).
과일이 많아(요).
달이 밝아(요).
농악이 재미있어(요).
소싸움, 닭싸움도 재미있어(요).
4.지도 내용과 방법
⑴발음 연습
-선생님이 정확한 발음으로 천천히 본문을 읽는다(학생 : 듣기)
-아래의 읽기에 주의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고, 몇 번 따라읽기를 시킴.
-선생님에 따라서 본문 함께 읽기
*받침발음에 유의 : 설(날), *거센소리 발음에 유의: 큰 *된소리 발음에 유의 : 윗사람→위싸람, 아랫사람→아래싸람, 떡국을→떠꾸글, 날씨, 아랫사람이→아래싸라미, 윗사람에게→위 싸라메게, 먹고→머꼬, *연음법칙 : 찾아가다→차자가다, 사람들은→사람드른, 명절에→명저레, 가족들이→가족드리, 명절날에는→명절나레는, 한복을 →한보글, 1월1일→이뤌이릴, 설은→서른, 설날은→설나른, 아이들은→아이드른, 설날에는, 가족이→가조기, 추석은 →추서근, 8월15일이야→파뤌시보이리야, 찾아가서→차자가서, 추석에는→추서게는, 송편을→송펴늘, 먹어→머거, 않아→아나, 많아→마나, 달이→다리, 밝아→발가, 농악이→농아기, 재미있어→재미이써, 추석이→추서기, 과일이→ 과이리, *자음동화 : 음력→음녁, 첫날입니다→천나림니다, 윷놀이→윤노리, 추석입니다→추서김니다, 갑니다→감니다, 모입니다→모임 니다, 즐겁습니다→즐겁슴니다, 입습니다→입슴니다, 드립니다→드림니다, 인사입니다→인사임니다, 합니다→함니 다, *묵음 : 닭→닥, 좋아→조아, *생각하다→생가카다, 좋고→조코, |
※주의 : 발음할 때 ‘한복→함복’, ‘한국→항국’이 되지 않도록 함.
⑵어휘 공부
새로 나온 낱말 : 명절(날), 민속(民俗), 설(날), 고향, 음력, 새해, 첫날, 차례, 조상(祖上), 아이, 어른, 세배, 위, 아래, 윗사람, 아랫 사람, 떡국, 나이, (연세), 연날리기, 널뛰기, 윷놀이, 추석(날), 거(것), 송편, 성묘, 산소, 달, 농악, 소(싸움), 닭(싸 움), 싸우다, 이기다, 지다, 죽다, (돌아가시다), 드리다, 모이다, 즐겁다, 생각하다, 찾아가다, 돌보다, 되다, 가장 새로 나온 조사 : ~께, ~보다 새로 나온 어미 : ~입니다/ㅂ니다, ~습니다/ㅂ니다, ~~으며/며, ~아서/어서, ~지도 |
※뒷부분((제33강)_33_2.한국(韓國)의_명절과_민속(民俗))은 첨부 파일에 싣습니다. 첨부 파일을 열어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어 교육 > 강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를 마치며 (2) | 2021.09.26 |
---|---|
<제34강> 34-1.2 한국(韓國) 관광 (0) | 2021.09.26 |
<제32강> 32-1.2 사회생활(社會生活) (0) | 2021.09.26 |
<제31강> 31-1.2 병원(病院) (0) | 2021.09.26 |
<제30강> 30-2. 계절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