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강의실

<제28강> 28-1. 학교생활(學校生活)

최길시 2021. 9. 26. 18:31

(제28강)_28_1.학교생활(學校生活).docx
0.02MB

1.단원 설정의 이유

    한국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이 독학이나 개인지도를 받기보다, 대부분 어학원이나 강습소 같은 기관에서 학습을 시작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이 단원은 훨씬 앞에서 다루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도 듭니다만, 학습자의 활

  동 범위가 신변에서 가정생활, 그리고 더 나아가 학교생활, 사회생활로 확대되는 것으로 생각하여 뒤에 배치하였습니

  다. 지도자가 필요에 따라 앞으로 옮겨서 학습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럴 경우 이 단원에서 다루는 어법(과거

  시제)은 뒤에 다루어야 할 것입니다.

    어법에서는, 앞에서 배운 미래, 현재시제의 표현에 이어, 과거시제 선어말어미(~았~, ~었~, ~였~)를 사용하는 과거시

  제 표현을 배우게 됩니다. 아울러 과거의 진행 표현(~고 있었다)과 대과거(~았었/었었~)의 표현도 언급될 것입니다. 이

  것으로 시제 표현의 기본적인 것은 모두 배우게 되는 셈입니다.

 

2.학습목표

학습목표 ① 학교생활과 관련되는 기본 어휘와 대화들을 듣고 말할 수 있다.
②본문을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③한국말의 어법-시제 표현 가운데서 과거시제 표현법을 이해 하고 바르게 표현할 수 있다.

 

3.본문

 

선생(先生)님, ~님(높임 접사), 학생, 남자(男子), 여자(女子), 칠판, 앞, 뒤, 옆, 강의실, 강의, 도서관, 사전, 책, 노트, 시간, 볼펜, ~들(복수 접사), 열심히, 가르치다, 깨끗하다, 더럽다, 공부하다, 노래하다, 약속하다, 만나다, 만들다 적다, 쓰다(글씨), 적다


학교에 갔어요.

길에서 선생님을 만났어요.

인사를 하였어요.

강의실 문을 열었어요.

칠판 앞 의자에 앉았어요.

선생님께서 한국어를 가르쳤어요.

우리들은 열심히 공부하였어요.

노트에 글씨를 썼어요.

도서관에 갔어요.

책이 많았어요.

 

4.지도 내용과 방법

  ⑴발음 연습

    -선생님이 정확한 발음으로 천천본문을 읽는다(학생 : 듣기)

    -아래의 읽기에 주의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고, 몇 번 따라읽기를 시킴.

    -선생님에 따라서 본문 함께 읽기

*거센소리 발음에 유의: 칠판, 책, 노트,
*모음 발음에 유의 : 의자, 뒤, 강의,
*된소리 발음에 유의 : 글씨, 께서, 깨끗하다, 쓰다
*연음법칙 : 갔어요→가써요, 열심히→열씨미(ㅎ묵음), 길에서→기레서, 선생님을→선생니믈, 문을→무늘, 열었어요→여러써요,
                앞에→아페, 앉았어요→안자써요, 한국어→한구거, 우리들은→우리드른, 썼어요→써써요, 도서관에→도서과네, 갔
                어요→가써요, 책이→채기, 많았어요→마나써요

*구개음화 : 약속하다→약쏘카다(아래 설명 참조)

※‘ㅎ(ㄶ, ㅭ)’ 뒤에 ‘ㄱ, ㄷ, ㅈ’이 오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

   (예) 놓고[노코], 좋던[조ː턴], 쌓지[싸치], 많고[만ː코] 않던[안턴], 닳지[달치]

  또, 받침 ‘ㄱ(ㄺ), ㄷ, ㅂ(ㄼ), ㅈ(ㄵ)’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는 경우에도, 역시 두 음을 합쳐서 [ㅋ, ㅌ, ㅍ, ㅊ]으로

  발음한다.

   (예) 각하[가카], 먹히다[머키다], 밝히다[발키다], 맏형[마텽], 좁히다[조피다], 넓히다[널피다], 꽂히다[꼬치다], 앉히다[안

         치다]

 

  ⑵어휘 공부

새로 나온 낱말 : 선생(先生)님, ~님(높임 접사), 학생, 남자(男子), 여자(女子), 칠판, 앞, 뒤, 옆, 강의실, 강의, 도서관, 사전, 책, 노
                      트, 시간, 볼펜, ~들(복수 접사), 열심히, 가르치다, 깨끗하다, 더럽다, 공부하다, 노래하다, 약속하다, 만나다,
                      만들다 적다, 쓰다(글씨), 문, 한국어, 글씨

새로 나온 조사 : ~께서

~께서 : 주어로 쓰인 말을 높여야 할 때 쓰는 격조사. 그러니까 주격 조사 '가/이'의 높임말임. 이때 서술어에는 높임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시-'를 붙임.(다음 단원에서 배우게 됨)

            (예)할아버지께서 신문을 보다.  선생님께서 칭찬을 해 주(었)다.

~님 : ①직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높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사장, 총장.

          ②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달, 별, 토끼, 해.

~들 : 셀 수 있는 명사나 대명사 뒤에 붙어 '복수(複數)'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사람, 그, 너희, 사건.

'한국어 교육 > 강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9강> 29. 운동(運動)  (2) 2021.09.26
<제28강> 28-2. 학교생활(學校生活)  (0) 2021.09.26
<제27강> 27-2. 교통(交通)  (0) 2021.09.26
<제27강> 27-1. 교통(交通)  (0) 2021.09.26
<제26강> 26-2. 날씨  (0) 2021.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