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홍콩 단상(斷想)
코발트빛
청화백자 접시 위에
버터로 구운
햄버거 하나
백 년을
다듬고 가꿔온
네온등 아름다운
남국의 정원
현란한 조명 아래
나이 찬 무희(舞姬)의
치맛자락 끝에 매달려
흔들리는 구슬
오월 초이레
곡마단 트럼펫 소리 뒤로
마지막 손님 부르는
저물녘의 단오터
(2002년 3월)
☆. ‘홍콩 간다’는 말을 내가 처음 들은 건 80년대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황홀경에 빠진다’는 뜻이라는 설명을 듣고도 언
뜻 와닿지 않아 멍청했었다. 우리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않던 89년 이전부터 홍콩은 속어(俗語)에 등장할 정도로 환상
적인 도시, 별천지의 대명사였다. 6.25 전쟁의 잿더미에서 끼니도 잇지 못해 허덕이던 때(1954)인데 ‘홍콩아가씨’란 유
행가가 대히트를 했을 정도니까.
그 말도 이제 사어(死語)가 된 듯하지만, 요즘 ‘송환법 반대’로 촉발된 홍콩 사태가 진정되지 않고 있어 마음이 무겁다.
중국과 홍콩 정부의 강압으로 시민단체가 집회를 취소했는데도 수십만 시민이 자발적으로 거리로 쏟아져 나온다는 뉴
스를 보며 왜 내 가슴속에서 뜨거운 것이 치밀며 울컥해지는가? 3년 살았던 옛 정 때문에라도 홍콩이 옛날의 자유롭고
화려했던 시절로 어서 돌아갔으면 좋겠다. ‘홍콩 간다’는 말이 되살아나 다시 한 번 가봤으면 좋겠다. 일국양제(一國兩
制)가 끝나는 2047년 이후엔 어떻게 될까?
그 홍콩에 파견근무하게 될 줄은 꿈에도 상상도 하지 않던 일이었다. 파견교장 시험이 있다길래 홧김에 쳐본 시험에
합격해버린 것이다. 해외여행 자유화가 된 지도 10여년이 지난 2001년이었는데도 주위 사람들로부터 ‘홍콩 가네!’라는
부러움 겸 축하의 말을 들었고, 가 보니 그때도 홍콩 번화가와 야경은 명불허전, 그야말로 ‘홍콩 간다’는 말을 속속들이
실감했다. 일본의 도쿄, 오사카에서 볼 수 없었던, 동양이면서 완벽하게 정착된 서양의 색다른 문화와 질서와 번화가
어리둥절하고 들뜨게 만들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중국에 반환된 지 5년이라는 변화가 곳곳에서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는 느낌을 받아 왠지 불안했었는데 이렇게……….
'최길시 시집 > 시(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아름답게 나이들게 하소서 (0) | 2021.12.18 |
---|---|
12. 더라 (0) | 2021.12.18 |
10. 가을 그날에 (0) | 2021.12.15 |
9. 당신은 누구십니까 (0) | 2021.12.14 |
8. 무념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