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9.이전) 자유게시판

김삿갓 시(詩) 감상(9)

최길시 2021. 10. 6. 10:37
글쓴이 kilshi 2007-08-13 15:54:47, 조회 : 1,769

 

 

過飮 警戒(과음 경계)

 

渴時一滴如甘露(갈시일적여감로)

醉後添盃不如無(취후첨배불여무)

酒不醉人人自醉(주불취인인자취)

色不迷人人自迷(색불미인인자미)

 

 

과음을 경계함

 

목 마를 때 한 방울의 술은 감로와 같지만

취한 후의 또 한잔은 안 마심만 못한 것.

술이 사람 취케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제 스스로 취하고

여자가 남자를 미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남자가 스스로 미친다.

 

누구 못지않게 술을 좋아했던 김삿갓, 두주불사(斗酒不辭)하였던 김삿갓이 과음을 경계하는 시를 지었다는 것은 의외다. 그런 김삿갓이 읊은 것처럼 ‘목이 말랐을 때 한 잔 술은 단 이슬처럼 약이 될 수 있지만, 취한 후에 또 마시는 술은 광약(狂藥)임은 술꾼 모두가 아는 일

 


僧俗 問答(승속 문답)

 

스님 : 山欲渡江江口立(산욕도강강구립)

水將穿石石頭廻(수장천석석두회)

김삿갓 : 山不渡江江口立(산불도강강구립)

水難 穿石石頭廻(수난천석석두회)

 

산사의 스님과 김삿갓의 문답 시

 

산은 물을 건너려고 강가에 서 있고

물은 돌을 뚫으려고 돌 머리를 도네.

산은 물을 건너지 못하여 강가에 서 있고

물은 돌을 뚫기 어려워 돌 머리를 돌아가네.

 

'(2021.9.이전)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삿갓 시(詩) 감상(11)  (0) 2021.10.06
김삿갓 시(詩) 감상(10)  (0) 2021.10.06
김삿갓 시(詩) 감상(8)  (0) 2021.10.06
그리운 바다 -존 메이스필드-  (0) 2021.10.06
한여름날의 추억  (0) 2021.10.06